한사회가 영유아기의 아동들을 대하는 방법과 특성이 그 사회의 모습을 확연히 드러내주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 넬슨 만델라 대통령 축사 중에서 -

GURO HANGDONG
WALDORFKINDERGARTEN

킨더소개

발도르프교육이란?



개별성을 존중하는 교육학


발도르프 교육학에서는 타고난 정신적인 것이 어떻게 유전적인 것과 주변 환경을 중개하는지를 보여 줍니다.
진정한 교육학적 단계들과 원리들은 결코 어떤 프로그램이나 이론에 의해 발전될 수 없고, 단지 교육하는 자기 자신의 직관을 훈련시키고, 아이가 어떤 인생 계획, 어떤 정신적 성향을 타고 났는지를 타맥하는 것에 의해서만 발전될 수 있다고 합니다.

영유아의 발달 단계를 중시하는 교육학


아이의 몸이 충분히 발달하여 어렸을 때 몸의 성장을 위해 쓰였던 강렬한 에너지가 지능과 기억을 위해 쓰일 만큼 자유로워질 때까지 아이는 상상력, 모방 움직이면서 하는 놀이, 손가락 놀이, 수공예, 미술적 활동 같은 창조적인 놀이를 해야 합니다. 단계를 빨리 뛰어넘으려 하고 무엇인가 배우게 하려는 일은 낮은 수준의 두뇌영역을 사용하게 하는 일입니다. 또한 일찍 공부를 시키는 일 역시 아이의 감정과 관련해서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할 지도 모릅니다.

실제를 통해 배우는 행위 교육학


아이는 모방을 너무나 잘 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아이들과 함께 실제 생활의 일을 함으로써 아이들에게 본보기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무를 톱질하고, 바깥놀이 시간에 정원을 가꾸고, 유치원에 필요한 물건을 만드는 일 등을 말합니다. 아이들은 자발적으로 선생님을 도와 일을 할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런 활동은 다시 아이들의 놀이에서 변형되어 나타납니다.

몸과 마음과 정신의 건강한 발달을 돕는 ‘건강교육학’


주위 환경 안에서 그 환경과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사는 아이의 기쁨은 신체기관을 만들고 형성하는 힘을 의미합니다. 아이 주위에는 행복한 모습과 태도를 지닌 사람이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공정하고 진심 어린 사랑을 지닌 어른이 주위에 있어야 합니다. 아이의 물리적 환경을 따뜻함으로 가득 채워 줄 사랑은 말 그대로 신체 기관을 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움직임, 활동을 통한 온전한 '감각 발달 교육학'


태어나서부터 일곱살이 될 때까지 아이가 지닌 힘은 자기 힘을 형성시키는데 집중됩니다.

관계성의 교육학


무언가를 만지는 일은 아이의 감각들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변세계와 자신이 따스한 사랑으로 연결돼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동시에 아이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 그리고 자신과 물건들 사이에 분리와 경계가 있다는 것도 느낄 것입니다. 다른 것과 분리되고 다시 연결되는 이러한 경험들은 점차적으로 관계 맺기의 경험과 그것의 가치에 관해서 아이를 일깨우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건강한 촉감을 발달시켜감에 따라 이러한 경계들을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해 나갈 것입니다.